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1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비자본주의와 인종, 대항서사

Consumer Capitalism, Race, Counternarrative: John Edgar Wideman’s Philadelphia Fire

DOI : 10.35222/IHSU.2022.41.4.5
  • 7

존 에드가 와이드맨의 『필라델피아 화재』는 다양한 계층에 속한 흑인 인물들의 목소리가 서사를 이끌어 가고 스스로의 텍스트성을 드러내는 포스트모던 소설에 속한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소설이 보여주는 정치적 ‘비결정성’과는 다르게, 이 소설은 미국사회에서 잊혀진 ‘무브’ 화재 사건을 통해 인종차별적 소비자본주의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 미국사회의 현실을 재조명하고 독자로 하여금 사회적 정치적 불평등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정확한 현실 인식을 이끌어 낸다. 이 논문은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다양한 서사들 속에 함축되어 있는 것을 드러내고 침묵들과 간극들을 연결해서 ‘무브 화재’의 궁극적 원인을 현대 미국사회의 소비자 본주의와 인종 담론의 관계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화자 커죠가 『템페스트』를 다시 쓰는 서사와 3부에서 삽입된 랩을 분석하여 현대 미국사회의 문제적 현실에 대한 작가의 저항적 인식이 어떻게 대항서사로 구현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John Edgar Wideman’s Philadelphia Fire is a postmodern novel in which its textuality is emphasized and its narratives are led by multiple voices of diverse African-Americans. However, instead of embodying political ‘indeterminacy’ of most postmodern novels, Philadelphia Fire not only reexamines how the black lower class is victimized by the racialized consumer capitalism of white dominant American society, but urges readers to be aware of its social and political inequality. By disclosing the implications of the scattered diverse narratives and connecting the silences and gaps in those narrative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ultimate causes of the catastrophic ‘MOVE’ fire in the context of the racialized consumer capitalism. Furthermore, through analyzing raps in part 3 as well as the narrator Cudjoe’s revision of The Tempest, this paper examines how Wideman’s resistant awareness of the problematic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is expressed in the counternarrative.

I. 들어가기

II. ‘무브’ 화재 : 소비자본주의와 인종

III. 대항서사의 모색

V. 나가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