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이하 ASD) 유아의 경우 장애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정서 조절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SD 유아의 정서 조절과 관련해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중재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중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총 56편의 국외 중재연구를 선정하였고, 개괄적 분석 및 중재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SD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총 14개의 중재가 활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활용된 중재는 ‘기술 보조 교수/중재(TAII)’(24편, 42.9%), ‘사회성 기술 훈련(SST)’(21편, 37.5%), ‘인지행동 교수전략(CBIS)’(19편, 33.9%)으로 나타났다. 중재의 목표가 되는 종속변인의 경우 ‘정서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39편(69.6%)의 연구에서 다루어져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ASD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및 중재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developing emotional regulation because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m.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s of young children with ASD. According to the criteria, a total of 56 experimental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pecific contents for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ASD were analyzed; in total, 14 interventions were used to improve emotional regulation. The most used interventions were technology assisted instruction/intervention (TAII; 24, 42.9%), social skills training (SST; 21, 37.5%) and cognitive behavior instruction strategies (CBIS; 19, 33.9%). Regarding dependent variables, ‘cognitive evaluation of emotions’ was covered in 39 studies (69.6%), showing the highest rat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to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ASD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