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대학과 대학교육이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과 어떤 방식으로 조응하는지 분석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 정책은 북한에서 특권과 같은 대학교육의 기회를 확장하는 동시에 노동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징병제로의 전환에 따른 학습 결손을 보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대학에게는 사회 발전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기회이나 동시에 온라인 전달 체계 구비, 온라인/오프라인 학사 체계 확립 및 운영, 학습자 특성 및 조건에 따른 교육 및 관리, 현장 적용 가능한 실사구시적 교과 편성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의 물질적 기반을 수립하고 유지하는 것은 결국 주민에게 부담이 전가될 확률이 높고, 맞춤형 교육, 콘텐츠, 학사관리 등의 한계 탓에 과학기술보급실을 문화/오락공간으로 사용하는 부작용도 나타난다. 기술혁신이 북한 당국의 기대보다 미진하고 여성, 영세한 경제 단위 종사자, 직급이 낮은 경우, 생계가 어려운 다수 노동자 등을 대학교육 기회에서 배제할 위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대학/대학교육과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 양자의 성공적 조응을 위해 주민 다수의 참여 유인을 끌어낼 요소들이 증가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당국이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강조해도, 학습자 주민이 참여할 의사를 크게 갖지 않는다면 이 정책도, 대학/대학교육도 큰 의미가 없다. 그것이 전제되어야 참신한 교수방법, 경쟁 및 보상 체계, 직장에서의 좋은 평정으로 직결되는 원격교육 및 정보 접근 기회들, 성취 및 긍정적 자아 인식, 지식적 흥미 충족 등 질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학습자와 대학 간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이끌어 낼 단초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d how North Korean universities and university education conformed to the policy of “expertization of all people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fter Kim Jongun took power, and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is policy can contribute to expanding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such as privileges in North Korea, while increasing workers' access to information and making up for the learning deficit caused by the transition to military conscription. Universities have opportunities to play a leading role in social development, but at the same time, tasks such as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 online/offline academic system, educ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and field-applicable due diligence curriculum are left. Howeve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material basis for these contents is likely to be passed on to the people, and due to limitations in customized education, content, and academic management, there are side effects of using IT classroom as cultural/entertainment spaces. There is also a risk of excluding women, small economic workers, low-ranking workers, and a large number of workers who have difficulty making ends meet from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Importantly, for the successful coordination of both university/university education and “expertization of all people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e factors that will attract the majority of the people should be increased. No matter how much the authorities emphasize the talentization of all citizens' science and technology, neither this policy nor university/university education means much if the learner residents do not have much intention to participate. Qualitative improvements such as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competition and compensation systems, remote education and information access opportunities directly linked to good assessment at work, achievement and positive self-awareness, and satisfying knowledge interests can be expected. These efforts will be the beginning of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universities.
Ⅰ. 서론
Ⅱ.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
Ⅲ. 대학 관점에서 조명한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