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동문제연구 제21권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품공간분석을 이용한 한·UAE·이스라엘 삼각 경제협력 유망분야 연구

2020년 아랍에미리트와 이스라엘이 아브라함 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의 경제협력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기술과 자본의 측면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이스라엘의 경제적 상호보완 관계에도 불구하고 협소한 자국 시장과 부족한 제조 역량의 한계로 인해 최근 제3국과 공동협력이 모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세계적 기술의 상용화 경험과 제조 역량을 갖추고 있는 한국과 아랍에미리트, 이스라엘 간의 삼각 경제협력을 염두에 두고 3국 간의 경제적 상호보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망분야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BACI 교역자료를 이용하여 상품공간분석을 수행하고 각국의 비교우위와 수입수요를 바탕으로 경제적 복잡성이나 수출량 확대, 혹은 수입대체 등의 목적에 따라 시나리오별로 삼각 경제협력 유망분야를 제시한다.

The Abraham Accords agreed between the UAE and Israel in 2020 have rapidly develope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Despite the economic complementarity between the UAE and Israel in terms of technology and capital resources, they have been seeking trilateral cooperation with third countries due to their small markets and lack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Korea is an important candidate for their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as it has competitive experience in commercializing cutting-edge technology and strong manufacturing competence. This paper explores potential areas for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to maximize economic complementarity among Korea, the UAE, and Israel. Specifically, the Product Space analysis with BACI trade data suggests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for each scenario to increase economic complexity and exports or to decrease import dependency based on each country’s comparative advantage and import demand structure.

Ⅰ. 서론

Ⅱ. 한·UAE·이스라엘 경제구조 비교

Ⅲ. 연구방법론: 상품공간분석 및 분석자료

Ⅳ. 삼각 경제협력 유망분야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