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서의 공공외교와 문화적 영향력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as a New Diplomacy Paradigm: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Implications of Turkey's Cultural Diplomacy with Korea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중동문제연구
- 제21권3호
- : KCI등재
- 2022.12
- 97 - 127 (31 pages)
오늘날 세계 각국은 소프트파워를 활용한 문화외교를 공공외교의 핵심축으로 강조하고 있다. 최근 튀르키예 또한 이 같은 흐름에 맞추어 문화외교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문화외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분석하고 한국에 지닌 함의를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소프트파워 강세를 보이는 분야로서 크게 언어·문화 교육 및 학술 교류지원 프로그램, 미식외교 그리고 드라마 콘텐츠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대(對) 한국 문화외교 전략을 위한 방안으로 튀르키예의 다양한 소프트파워 가치를 활용하는 것과 외교 대상을 더욱 확대하여 지속적인 문화외교 전략을 펼치는 것 그리고 온라인 문화교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Generally speaking,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mphasizing cultural diplomacy using soft power as a key pillar of public diplomacy. This is part of a diplomatic strategy to enhance the country's image as a ‘diplomacy that moves the mind’ of the public. Turkey is also actively utilizing cultural diplomacy in line with this tren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tential of Turkey's cultural diplomacy and to look into its implications for Korea. This study analyzed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academic exchange support programs, gastronomic diplomacy, and drama contents as Turkey's soft power promotion areas. Along with this analysis, this study is a plan for Turkey's cultural diplomacy strategy regarding Korea. First, Turkey's various soft power capabilities are utilized. Second, expand the target of diplomacy and implement a continuous cultural diplomacy strategy. Third, it suggests to actively utilize the online cultural exchange platform.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튀르키예 문화외교의 다양한 활용 사례
Ⅳ. 튀르키예의 대(對) 한국 문화외교의 잠재력 및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