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Day 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for Peer Interaction of Infant from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 젠더와 사회
- 젠더와 사회 제33집
- 2022.12
- 29 - 50 (22 pages)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한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또래 간 상호작용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 시점 기준 현재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를 담당하고 있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보육교사 14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최소 1시간 이상 진행된 심층면담과 교사의관찰일지가 분석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한 뒤 Bogdan와 Biklen(1992)의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은 혼자놀이 형태, 공격적 형태, 비주도적인 순응적 형태, 어린 연령의 유아들과만 상호작용하는 형태, 친사회적인 형태가 범주화되었으며, 그 중 비주도적인 순응적 형태와 어린 연령의 유아들과만 상호작용하는형태는 비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에게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보육교사는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 언어표현능력, 성격,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이들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그 중 기본생활 습관과 언어표현능력은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결과는 이들의 긍정적인 또래 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day care center teachers’experience for peer interaction of infant from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Fourteen teachers who take care the infant in day care center were interviewed in-depth for more than an hou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cedures of Bogdan and Biklen(1992) after the transcription. The resulted showed that peer interaction pattern of the infant were categorized into 5 patterns, included solitary play pattern, aggressive pattern, non-dominant obey pattern, interaction with only younger pattern, and pro-social pattern. Also, the resulted showed that non-dominant obey pattern and interaction with only younger pattern were for infant from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only. And the basic etiquette, speech ability, personality,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were factors that influenced peer interaction. Also the basic etiquette and speech ability were for infant from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only. The finding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positive peer intera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