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올로기가 체제 유지를 위한 장치라면, 유토피아는 탈이데올로기를 목적으로 하는 상상적 실천이다. 폴 리쾨르에 따르면,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는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표현이 다를 뿐 둘 다 사회적 상상의 산물로서, 일정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애초에 실천과 상상은 분리될 수 없으므로 이 두 개념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리쾨르의 입장에서 좀 더 나아가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의 담론을 정신분석을 통하여 재해석해보기로 한다. 즉,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의 실천에 상상적 표상이 어떻게 관여하는지 주목하고, 현실적 실천 밑에 작동하는 욕동의 논리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환상fantasme’의 논리라고도 할 수 있는데, 욕동을 통해 집단정신이 어떠한 상상적 각본에 참여하는지 추적하는 것이다. 프로이트, 알튀세르, 라캉의 연구는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속에 작동하는 상상과 실재, 실천의 관계 양상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먼저, 1장에서는 사회학적 정신분석의 가능성으로서의 유토피아의 문제를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살피고, 2장에서는 알튀세르의 표상과 실재의 관계로서의 이데올로기가 프로이트로부터 이어진 맥락임을 논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라캉의 관점을 통하여 불가능으로서의 유토피아가 이데올로기에 은폐된 실재를 어떻게 폭로하는지를 논의하기로 한다.
Alors que l'idéologie est un dispositif de maintien du système, l'utopie est une pratique imaginaire visant la post-idéologie. Selon Paul Ricœur, l’utopie et l’idéologie ne s'opposent pas mais s'expriment différemment, et toutes deux sont le produit de l'imaginaire social. Notre recherche ira plus loin que du point de vue de Ricœur et réinterprétera le discours de l'utopie et de l'idéologie à travers la psychanalyse. Nous remarquons la façon dont les représentations imaginaires sont impliquées dans la pratique de l'utopie et de l'idéologie, et nous faisons la lumière sur la logique des pulsions qui y opèrent. C'est la logique du « fantasme ». Les études de Freud, Althusser et Lacan fournissent une force motrice pour une nouvelle interprétation de la relation entre l'imagination, la réalité et la pratique opérant dans l'utopie et l'idéologie. Premièrement, nous examinerons du point de vue de Freud le problème de l'utopie comme possibilité de la psychanalyse sociologique et ensuite, l'idéologie d'Althusser héritée de Freud comme rapport entre représentation et réalité. Enfin, nous examinerons du point de vue de Lacan comment l'utopie comme impossible expose le Réel caché dans l'idéologie.
1. 들어가며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