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플립러닝 기반 전공기초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행위주체성에 관한 혼합연구

A Mixed Study on the Student Agenc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Basic Subject Class of Major Based on Flip Learning

  • 109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6호.jpg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의 수업 참여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문화와 교육>을 수강한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학습 전과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플립러닝 경험을 학습자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 수강 전보다 수강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GI 면담과 성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 경험에 대한 성찰’, ‘주변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 ‘플립러닝 수업을 통한 변화’가 도출되어 학습자 행위주체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으로 양적연구가 수행되어 연구 결과 해석에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체계적인 실험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또한, FGI 면담에서 ‘조원 내 역할에 대한 부담감’, ‘조원의 소극적인 태도’, ‘온라인 수업에서의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에 대한 아쉬움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한 플립러닝 수업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lipped learning classes on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uch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of 29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A University Culture and Education course was conducte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learning.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ers’ flipped learn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agency, an FGI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As a result, we found that college students had more significantl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scores after taking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an before taking the cla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GI interview and reflection diary, we derived the following: ‘reflection on the class experience’, ‘interest and responsibility for the surroundings’, and ‘change through flipped learning classes’. Their diaries also expressed the level of agency the students felt. In this stud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single group, 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research results. Thus, systematic experimental research is needed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in the FGI interview, there were regrets expressed about the ‘burden of the role within the group’, the ‘passive attitude of the group’,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presented in online classes’. Accordingly, in future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 class that better reflects the learner’s experienc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