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4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팬데믹 시대, 서울시 장애아동 돌봄지원 정책과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Care Support Policy in Seoul and Role of Local Government in the Pandemic Era Using Delphi Method

DOI : 10.22589/kaocm.2022.45.97
  • 124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 서울시 장애아동을 중심으로 돌봄서비스 지원을 위한 정책과제와 향후 개선방안을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팬데믹 시대 장애아동에 대한 국내외 돌봄 지원 사례와 선행연구등을 고찰하였으며, 총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 델파이(Delphi)조사를 실시하여 서울시 장애아동을 위한 돌봄서비스 정책 수요 및 이용자와 공급자적 측면에서의 영향, 그리고 최종 도출된 세부추진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팬데믹 시대 장애아동 양육가정의 돌봄공백 문제로 인한 사회적죽음에 대한 대응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는 첫째, 장애아동 돌봄제도 간 서비스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서비스 지원 대상으로 확대해야 하며, 둘째 돌봄서비스 유형과 내용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셋째, 장애아동 대상 돌봄서비스의 경우 집단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장애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책임질 가족에 대한 지원도 통합적으로 지원되어야 함이 제안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k policy tasks an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to support care services, focusing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during the pandemic era. As a research method,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are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andemic era and 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Three Delphi surveys with 20 expert panels were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demand for care service polic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the impact on service recipients and providers, and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final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responding to social death was the most urgent issue for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andemic era.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services target, such as resolving blind spots among care syste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s and contents of care services. Third, in the case of car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rvice participation must be through a group activity program. Additionally, support for families responsibl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comprehensively.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