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1인 가구의 급증으로 경제·사회적 특성과 생활여건 개선을 위한 대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고도화 된 사회화와 함께 국민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그로 인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가, 초혼연령 상승, 출산율 저하 등의 이유로 사회 전반적으로 여러 변화들이 일어나 가구 유형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 목적은 지방의 거점도시 중 하나인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2030세대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해 2030세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1인 가구에 대한 삶의 질 향상과 주거환경개선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인 가구에 대한 이론과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고, 광주광역시 2030세대의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현황과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2030세대 1인 가구를 위한 체계적인 주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2) 2030세대에 대하여 차별적인 정책 및 지원과 함께, 3) 주택의 만족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주거형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Recently, as a result of the surge in single-person households caused by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responses to improve econom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are actively underway. In particular, as people's education levels have increased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advanced socialization, various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have occurred due to an increa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crease in the age of first marriage, and decrease in the birth rate, resulting in changes in household typ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housing environ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of the 2030 genera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one of the regional base citi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ving environm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s the 2030 generation increases. To this end, theories about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ories about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housing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examined by 2030 generations. As a result, 1) a systematic housing management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2030 generations was established, and methods for implementation, 2) discriminatory policies and support for 2030 generations were developed, and 3) the need for customized housing type support centered on consumers to increase housing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1인 가구 주거현황 분석
Ⅳ. 주거실태 및 만족도 분석의 틀
Ⅴ. 주거실태 및 만족도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