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2.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IPA를 활용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최종학교 기여도 인식 분석

본 연구는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이에 대한 최종학교 기여도의 인식 수준 및 이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IPA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건의료직 양성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4차(2020년) 청년패널조사의 원자료 중 보건의료직 종사자 총 46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IPA를 활용한 분석결과, 개선시급영역은 도출되지 않았으며, 지속유지영역은 전문분야 지식, 전문분야 실용적 지식, 의사소통, 타인과 협력하는 능력, 고객상대능력, 스스로 배우는 능력, 계획적인 생활습관, 변화적응능력, 올바른 직업관과 비즈니스 매너, 문서 이해로 나타났고, 낮은 우선순위영역은 컴퓨터 사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외국어 읽고 쓰기, 수학문제 풀이, 외국어회화로 나타났으며, 과잉투입영역은 문서 작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을 양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ork ability and their final school contribu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mong health care worker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health care training curriculum by analyzing using IPA.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response data of a total of 465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 original data of the 14th (2020)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zing using IPA, concentrate here area was none, and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was specialized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eld of expertise, communication, ability to cooperate with others, customer response capability, ability to learn for oneself, deliberate lifestyle, ability to adapt to change, good job perspective and business manners, understanding documents. Low priority area was computer literacy, ability to creative problem solving, reading and writing in a foreign language, solving math problems,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and the possible overkill area was creating a document. Based on the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development to cultivate health care workers were sugges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