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자 환자의 임플란트 구강건강 기능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최에스더 권은자 한민수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0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12
- 259 - 264 (6 pages)
본 연구는 충청남도 홍성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 시행 후 임플란트 전· 후의 기능별 만족도 요인을 비교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0년 11월 1일부터 20211년 3월 31일까지 충청남도 홍성군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저작, 사회적, 심리적 기능을 조사하여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기능별 만족도 비교를 위해 paried T-test를 실시하였다. 임플란트 시술 전·후에 대한 저작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에 대한 모든 문항에서 임플란트 시술 전보다 시술 후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임플란트 시술은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므로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서 노인들의 구강 건강 문제와 임플란트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시행되고, 그에 따른 방안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of the elderly by comparing the satisfaction factors by function before and after implantation targeting the elderly living in Hongseong, Chungcheongnam-do. From November 1, 2020 to March 31, 2021,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aged 55 or older living i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A Likert 5-point scale was used to investigate chewing,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and a pari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satisfaction by function. All factors for masticatory,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implant surg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implant surgery than before implant surgery(p<0.001). Implant surgery has a great influence on not only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but also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so more research on this is needed and measures are needed accordingl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