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병원 인력확보 여부에 따른 고령환자의 의료이용 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장윤정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0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12
- 265 - 274 (10 pages)
본 논문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자료 2018년 고령환자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260,425건의 내역서를 이용하여 요양병원을 필요인력확보, 요양병원간호사2/3이상 확보 수가적용 여부에 따라 요양병원 가산유형을 분류하여 이용한 병원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필요인력확보 요양병원’ 이용자는 78.9%, ‘필요인력 및 간호사2/3이상 확보 요양병원’이용자는 15.6%, ‘필요인력 및 간호사2/3이상 미확보 요양병원’이용자는 5.5%였으며, 필요인력 및 간호사2/3이상 확보 요양병원은 호흡계통의 질환과, 의료경도의 환자가 가장 많이 입원하였다. 하지만 요양병원 간호사 2/3이상확보, 필요인력확보 수가는 상대가치점수가 산정되지 않아, 13년째 동일한 금액을 유지하고 있어 수가의 개정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2018 elderly patient data sets among the patient sample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nd the 260,425 statement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together used.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spital type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addition type of long-term care hospital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secure the required manpower and whether or no to secure more than two-thirds of required nurses. However, in evaluating whether or not to secure more than 2/3 of necessary nurses and whether or not to secure the necessary manpower, the relative value points were not considered, and the same amounts of value has been maintained for 13 years, so the relevant value needs to be revis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