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2.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및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부당요구, 공격성)가 감정적 소진 및 친환자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 서비스제공자들의 일에 대한 의미감이 코로나로 인한 환자 관련 스트레스가 감정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 2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코로나 스트레스는 감정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환자 관련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환자의 부당요구는 감정적 소진을 증가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뿐만 아니라 내부직원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COVID-19 stress and patient-related social stress (unreasonable demand, aggression)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atient-friendly orientation. In addition, it is to confirm the role of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related stress caused by COVID-19 and emotional exhaus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health care service providers, and the final 21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rona stress is a factor that increases emotional burnout for health care providers. In the case of patient-related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ient's unreasonable demand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but aggress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not only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service quality improvement, but also managerial implications for preparing plans for internal employee management.

1. 서론

2. 가설설정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