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novice teachers in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DOI : 10.22961/JHCLS.2022.10.2.329
  • 247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고,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경력 2년 미만의 초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면서 누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고 있음을 걱정하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아 관찰, 동료 교사들과의 정보 공유, 누리과정 해설서 참고 등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실제적인 놀이 사례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차원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유아의 놀이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누리과정을 실제로 운영하면서 좋은 점으로 유아의 흥미와 생각을 고려하여 유아 중심의 놀이를 진행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고민하고 생각하면서 유아들의 놀이를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어려운 점으로 유아의 놀이에서 유아의 생각을 읽고 주제를 잡아 놀이를 진행하는 것과 놀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 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인터넷 자료나 동료 교사와의 의견 공유 등을 참고하고 있었으며, 직접 경험이 놀이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관찰, 창의적인 사고, 순발력, 놀이를 지원하고자 하는 의지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new teacher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support novice teachers. For the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with 12 first-time teach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at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Chungnam and Daeje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worri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while preparing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supplement this, they were preparing to observe infants, share inform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refer to the Nuri curriculum commentary. Also, teachers thought that they were getting help in terms of indirectly experiencing actual play cases through training. Second, the first-time teachers were providing various support by focusing on children's play while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The teachers emphasized that the good point of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is that children's interests and though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at children-centered play can be carried out, and that the teachers can support children's play while thinking about it. And teachers mentioned the difficulties of reading children's thoughts in children's play, grasping the topic and proceeding with the play, and the lack of time to play. In addition, starting teachers were referring to internet resources and sharing opinions with fellow teachers, and mentioned that direct experience helped them to implement the play. Lastly, teachers' interest in and observation of play, creative thinking, quickness, and willingness to support play were considered important as the competency required for teacher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