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최정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0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12
- 351 - 359 (9 pages)
본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E군에 소재한 G대학교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과 3,4학년 재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8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와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간호전문직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만족도(β=.256, p=.001)가 가장 강력한 영향변수였으며, 임상실습만족도(β=.237, p=.004), 임상실습 스트레스(β=.-.143, p=.068)순으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전체변수의 설명력은 21.8%로 나타났다(F=.14..44, p=.000). 이상의 연구결과로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전략 및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 of Nursing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t G University located in E-gun, Chungcheongbuk-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1 to December 18,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rof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ajor satisfaction (β=.256, p=.001) was the strongest influencing variable,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β=.237, p=.004)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β=.-.143, p= .068)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total variables was 21.8% (F=.14..44, p=.000).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strategies and specific programs to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