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over.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래형 직업교육을 위한 메타버스기반 환경 연구

A Study on the Metaverse-Based Environments for Future Vocational Education

DOI : 10.29279/jitr.2022.27.4.57
  • 163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는 오프라인 중심의 교육을 온라인 방식으로 바꿔놓았다. 초창기 메타버스는 교육보다일회성 행사 중심의 이벤트로 운영되었지만, 현재는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가상의 학습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폴리텍대학에서 구축한 메타버스 플랫폼(Poly Meta)과 콘텐츠 활용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일반 교육적 의미의 메타버스 개념을 뛰어넘어, 직업교육에 필요한 메타버스의 환경요건과 메타버스 콘텐츠의 활용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성과 접근성, 직업교육 훈련적용 효과에 대하여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offline-oriented education by increasingly employing online methods. Although in the early days, the metaverse was operated to be used as a one-time event rather than for education, it is now gaining attention as a new virtual learning space that interacts with reality. In this study, the metaverse platform Poly Meta and content use cases built by Korea Polytechnic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we intend to go beyond the usage of the metaverse in general education and further develop metaverse environmental requirements and content in a direction necessary for vocational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ill be performed on the metaverse platform’s usability and accessibility and on the effect of applying it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