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기반 코로나19 유행이전/확산기/안정기 캠핑 서비스 동향 분석

Trends of Camping in the Pre, During and Post-pandemic Era: U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 167
관광연구 제37권 제8호.jpg

코로나19 이후 캠핑은 국·내외를 아울러 그야말로 가장 각광받는 레저 활동이자 일종의 여가 문화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급격히 증가한 캠핑 수요와 더불어 그 참여 동기도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은 캠핑의 수요와 트렌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코로나19 ‘유행이전’, ‘확산기’, ‘안정기’로 기간을 세분화하여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를 수행하였다.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텍스톰 (Textom)을 활용하여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다음과 구글에서 ‘캠핑’을 주제어로 3개년(2019~2021)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후 TF-IDF 분석,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을 통해 주요 키워드 파악 및 캠핑 이용자들이 느끼는 긍·부정 감성 상태를 분석하였으며, Gephi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간별 키워드 중심성 변화와, 키워드 간 구조적 등위성을 시각화를 통해 패턴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주요 트렌드 변화는 다음과 같다: ‘감성주의에서 실용주의로의 변화’, ‘캠핑 입문자의 증가’, ‘차박에서 백패킹으로의 확산’, ‘자연친화적인 장소 선호’, ‘수동적 검색에서 주도적 검색으로 변화’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감성분석에서 도출된 부정 감정인 ‘거부감’은 캠핑 입문에서 오는 현실적인 거부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환경적인 거부감으로 기간 변화에 따른 이용자들의 감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ing camping trend in the pre-, during, and post-period of the COVID-19 era. We employ Exploratory Data Analysis(EDA)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our steps: Step 1: Data colle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representative portal sites (Naver, Daum, and Google) with respect to the keyword 'Camping' by employing Textom Step 2, Pre-processing. Morpheme analysis was performed to refine the collected data, and then nounization of verbs and adjectives are performed. In this process, unnecessary words are integrated or deleted as representative words. Step 3, Data visualization. The TF-IDF, Sentim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to detect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in camping experience. Step 4. Insights Exploration. We extracted and grouped meaningful insights from data and visualization modeling. Our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hange from sensitivity to pragmatism, 2) Increase in camping beginners, 3) Spread from Chabak to Backpacking, 4) Prioritize nature-friendly places, 5) Use proactiv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eady growth and preference of the camping industry, and grasp the behavioral patterns and changes in camping trends of camping us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