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 유치원 교사,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교사 이미지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of Pre-service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 193
사회과학리뷰 제7권 제3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유치원 교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생각하는 교사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4월 11일부터 4월 29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50부의 설문지 중 최종 214부를 대상으로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전체 평균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교사 이미지의 평균값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치원 교사,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이미지는 학력과 경력,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 이미지 제고 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교사상을 정립함으로써 유아교사가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teachers for pre-service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eachers they think.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1 to April 29, 2022 on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vocational colleges in Gyeonggi-do, Seoul, a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ronbach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the final 214 out of 250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random analysis and Scheffe post-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average for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moderate or higher,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image of teachers considered by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was the highest. Second, the image of pre-service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working institution.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improve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an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recognized as professionals by establishing a desirable teacher imag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