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도산 안창호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 정경환(Chung, Kyung-Hwan)
- 한국민족사상학회
- 민족사상
- 제6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09
- 9 - 37 (29 pages)
본 논문은 도산의 인간관에 관한 글이다. 도산의 인간관은 도산사상의 출발점을 이룰 정도로 도산연구에 있어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도산의 인간관을 모르고 도산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만큼한 인물의 사상 연구에 있어서 인간관은 가장 본원적이고 기초적인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도산의 인간관은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도산의 인간관은 자유에 의한 주체적 인간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자유는 도산사상의 근간을 형성한다. 자유에 의해 주체적 인간이 표출된다. 자유가 없는 곳에 주체적인 인간의 성립은 불가하다. 둘째, 도산의 인간관은 개체를 전제한 민주적 인간을 그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개체를 중시하면서 전체를 강조하는 것이 바로 민주주의이고 이를 기반으로 성립된 인간이 바로 민주적 인간이다. 이런 점에서 도산의 인간관은 민주주의에 대한 도산의 투철한 신념을 기반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인간관은 국가에 책임지는 주인적 인간을 그 내용으로 한다. 주인적 인간은 그의 핵심적 인간관을 구성하는 인간이다. 주인과 여객의 차이를 그는 책임에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단순히 독립적인 인간만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는 주인의식을 가진 인간을 도산은 추구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human view of Do San. A human view of Do San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 study on the Do San's thought. To understand the Do San's thought without Do San's human view is impossible. A human view in a person's study is a basic, original recognition. The Do San's human view can explain into three sorts. First, the Do San's human view has a independent person by a freedom. A freedom forms the basis of Do San's thought. By a freedom, a independent person is appeared. Without a freedom, it is impossible that a independent human is being. Secondly, the Do San's human view has a primary content consisting of a democratic person keeping a individual. To emphasize a whole putting emphasis on a individual is a democracy. A human on basis of this truth is a democratic person. In this sense, the Do San's human view is based on the truth of democracy. Finally, his human view has a content consisting of a hosting person taking responsibility for a state. Do San says that s difference between a host and guest is on a responsibility.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도산 안창호의 인간관의 내용
Ⅲ. 도산 안창호의 인간관의 성격과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