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지역사회학 제23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노인의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

DOI : 10.35175/KRS.2022.23.3.37
  • 372

이 연구는 노인의 거주지역에 따라 우울증상이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더 나아가 거주지역별로 어떤 변인들이 우울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N=9930). 연구방법으로는 종속변수인 우울증상을 우울점수에 따라 우울증상 ‘없음’과 ‘있음’ 두 범주로 나누었으므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문대학이상이 무학보다 우울증상이 더 높았다. 한편, 읍면부에서는 자녀 혹은 기타 동거자가 있는 경우 부부가구보다 우울증상이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 모두 경제활동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우울증상 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건강관련 변인들 중에서는 두 지역 모두 주관적 건강이 부정적일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지난 1년간 병원 입원 유경험이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높였다. 현재 음주가 비음주보다, 운동을 안하는 경우가 하는 경우보다 두 지역 모두 우울증상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현재 흡연은 동부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만 60세 이후 자살생각을 해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두 지역에서 우울증상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동부에서는 건강상태와 친구지역사회에 대한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읍면부에서는 사회여가문화의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지역 맞춤형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variables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data from the 2020 The Korean Elderl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analyzed (N=9930). The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were living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o depress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core. As a result, among residents of urban areas,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men and those who were educated in junior college or higher than the uneducated. On the other hand, those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or others in rural areas were about 2.4 times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living with spouse. In both areas, those who were working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not working. Among health-related variables, in both areas, the more negative self-rated health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having experiences with hospitalization in the past year,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is. Currently, in the case of drinking and not exercising,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areas. However, smoking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in urban areas. People who thought of suicide after the age of 60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in the two areas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health condition and the friends or community, and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leisure life. According to the result, I suggest regional customized policy to protect depression of the elderl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