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의 교통법 및 어린이 안전 보호법이 개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교통사고는 지속해서 증가 및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삼아, 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공공시설물을 통해 개선된 특징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어린이의 행동 유형을 반영한 교통안전 시설물 유형 도출하고 방안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어린이의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행동 유형에 대한 어포던스 이론과 어린이보호구역의 지정지침 및 법규를 이론적 고찰하였다. 또한 하슨의 4가지 어포던스 유형을 어린이보호구역의 시설과 연관성을 도출하여 어린이 행동 지원형 교통안전 시설물을 구현하고, 국내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6가지 공공안전 시설물을 사례를 통해 어린이 행동 유형 요소를 분석하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사용자의 관점으로 교통안전 시설물을 바라봤을 때 각 시설물에 하슨의 어포던스 관점인 물리적, 감각적, 인지적, 기능적 어포던스 유형으로 구분하여 어린이 행동 유형이 적용된 안전 요소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확장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적용과 행동 유형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고 개선되었으면 한다. 또한 어린이 교통사고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어린이안전 관점인 행동 지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더 나아가 행동을 유도하고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 연구들이 지속해 활발하게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Despite improvements in the Traffic Law and the Child Safety Protection Law in child protection zones,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decreasing.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roved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installed in children's protected area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deriving traffic safety facility types that reflect children's behavior types. For this study,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affordance theory for user behavior types and the designation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child protection zones to understand children's behavior. In addition, we will draw the relationship between Harson's four affordance types and children's protection zone facilities, implement child behavior support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analyze the child behavior type elements through examples of six public safety faciliti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when looking at traffic safety facilities from a user's point of view in a child protection area, each facility was divided into physical, sensory, cognitive, and functional affordance types, which are Harson's affordance perspectives. Through extended research, we hope that concrete application and various utilization measures of behavior types will be proposed and improved. In order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rate of children, it is hoped that design research that can induce more action and induce action will continue to be actively carried out, rather than just supporting behavior, which is a safety point of view for children.
1. 서론
2. 문헌 고찰
3. 연구 대상
4. 어린이보호구역과 어포던스의 상관성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