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19-39세 성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영향 요인
제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 활용
- 임은정(Eun-Jung LIM) 정계현(Gye-Hyun JUNG)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9권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2
- 247 - 260 (14 pages)
본 연구는 만19-39세 성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의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과 2020년 2개년도 2기 한국의료패널 조사에 참여한 만19-39세 성인 총 1,61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성에서 불안감이 유의한 관련 요인이었고, 남녀 모두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전문가 상담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관련 요인이었다. 이에 만19-39세의 자살생각에 대한 원인 파악과 관리를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정신건강전문가 상담, 치료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식 변화의 노력과다양한 경로의 지원 확대 및 홍보와 같은 적극적인 자살예방 활동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정신적 안녕을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gender in adults aged 19 to 39 of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2nd Korean medical paneldata. A total of 1,610 adults aged 19-39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Korean medical panelsurvey in 2019 and 2020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ideation according to gender of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xiety was a significant factor in men, and in both men andwom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counseling were significant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grasp and manage thecause of suicidal ideation between 19 and 39 years old through counseling and treatments ofdifferentiated mental health experts according to gender. To this end, active suicide preventionactivities such as efforts to change awareness, expansion of support for various channels, andpublicity should be done. In addition, a policy basis should be established to form a socialsupport system for their mental well-being.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