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대표훈 설정을 위한 제안

Th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or Middle School Education: Focusing on revised Chines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t 2015

DOI : 10.17293/dbkcls.2022.93.
  • 4

본고에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대표훈을 선정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한문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2017년 검인정으로 제작된 현행 17종의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한자 900자의 훈을 파악하고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의 훈이 단수훈과 복수훈, 관형사형과 용언의 기본형, 고유어 훈과 한자어 훈, 허사의 훈, 그리고 동자이음 한자 훈 등이 일정한 기준 없이 혼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통일된 대표훈을 갖고자 그동안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존중하여 일정한 기준의 선정 원칙과 세칙을 마련하고 『설문해자』와 비교 등 일정한 과정을 통해 표준화된 기초한자의 대표훈 선정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한자의 대표훈 설정 문제는 한문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필요한 과정이며 반드시 완성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대표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그 시기의 단축 또한 모두가 공감하는 부분이다. 대표훈의 선정과정에서 학습자의 혼란을 줄이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최우선으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the representative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and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Chinese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rom 17 different middle schools’ government-authorize textbooks in 2017 due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education in 2015. This study confirms that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 character, basic forms of modifiers and predicate element, Korean translation and Chinese translation of native language were used without standards. This study respects the opinions that improve the problem to have unified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character and suggests the way to decide representative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through the certain process such as comparing to 『Shuowen Jiezi(說文解字)』, etc. with the rules and detailed criteria.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is necessity for achieving the goal of Chinese education. The process prioritizes the point that should reduce the confusion among learners but raise the learning efficiency.

1. 머리말

2.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훈의 실태

3. 기초한자 대표훈 선정 기준 및 대표훈 선정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