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연계성 분석

D 대학의 DEU-CCDS와 DEU-GRIT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이 교과 및 비교과를 거쳐 함양하는 핵심역량과 학업, 사회, 정서, 진로에 걸친대학생활적응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은DEU-CCDS 척도를, 대학생활적응은 DEU-GRIT 척도를 활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핵심역량의 ‘민주적 의사소통’과 대학생활적응의 ‘학교내대인관계’ 및 ‘진로활동’과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변수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모든 대학생활적응 하위변인들에 걸쳐 2-8개의 핵심역량의 구성요소들이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IPA 분석을 통해 지속-개선의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한 결과, 대학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핵심역량 구성요소들은 유지강화 및 점진개선 영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일부는 중점개선 영역에도 분포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이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교과-비교과 활동의 개선 및 유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cultivated bycollege students through curriculum and non-curriculum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cross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areer-adaptation. To this end, D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using the DEU-CCDS scale for core competency and the DEU-GRIT scale for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communication' of core competencies and'interpersonal competence in school' and 'career activiti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s of 2 to 8 core competencies significantly explained across allsub-variabl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eriving the core competency components of continuity-improvement through IPA analysis, the core competencycomponents that significantly explain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areas of maintenance and progressive improvement, and some were also distributed in the areas offocus improvement.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nduce college students to adapt well tocollege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maintain customized curriculur and non-curricularactivities so that they can strengthen their core competency level.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