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의 2030 청년장애인취업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for Employment of Young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30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ve Counseling

  • 177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5호.jpg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30 청년장애인 취업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청년 장애인 취업의 양상을이해하고 청년 장애인의 취업을 돕기 위해 필요한 개입에서의 시사점을 예방상담학적 관점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진 등재지 후보 이상의 논문들과 학위논문 총 85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별 현황 및 전공분야,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전공분야는 주로 교육과 사회과학 연구가주를 이루었으며, 사회생태적 모형(socioecological model)의 틀로 국내 청년 장애인 취업과 관련된연구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주로 외부환경적 요인에서 프로그램 제공 및 사회적 관계와 관련한 연구, 개인내적특성 요인으로 인지적 특성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행태적 요인으로는 일반적, 학업적 요인보다 진로 관련 행동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된 것으로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 청년 장애인 취업 문제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도출하고자 관련변인들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주로 보호요인에 관한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0대 대상층의 경우 보다 실질적인 진로 관련 적극적행동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By grasping the trend of employment research for the youth disabled in 2030 in Korea,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employment for the youth disabled and to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interventions necessary to help the youth disabled findemployment from a preventive counseling persp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85 papers anddegree papers that are candidates or higher in the academic field were analyzed for eachresearch year, major fields, and research topics. Research majors mainly focused on educationand social science research,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of research related toemployment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under the framework of a socioecological model,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related to program provision and socialrelation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for personal behaviorfactors,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on career-related behavior were conducted rather thangeneral and academic factors.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ve counseling, relatedvariables were classified as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to derive implications forcounseling intervention on the employment problem of the youth disable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on protective factors is mainly focused, and in the case of the targetgroup in their 30s, more practical career-related active behavior acts as a protective factor.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