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인식하는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에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Class and Work Volition on Decent Work: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9권5호
-
2022.10281 - 302 (22 pages)
-
DOI : 10.20496/cpew.2022.9.5.281
- 597

본 연구는 전국의 20대, 30대 성인 직장인 369명을 대상으로 사회계층이 일 자유의지 및 일 자유의지의 하위요인들을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자유의지와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는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지와 경제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는사회계층과 괜찮은 일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성격은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계층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를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은 적극적 성격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직장인이 괜찮은 일을 획득하도록 돕기 위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와 적극적 성격을 강화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relationship among social class,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for 369 workers in their 20s and30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 and workvolition against structural constrai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decent work, whereas work volition against economic constraints and will did not. Second,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 against structural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ir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work volition against structural constraints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The Findings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work volition and proactive personality for theacquisition of decent work among adult worke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