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술성에 초점을 둔 문학사 탐구 교육 연구

A Study on Literary History Inquiry Education Focusing on Narrativity

DOI : 10.15734/koed..132.202210.545
  • 44

목적: 본 연구는 문학사의 서술성에 초점을 둔 문학사 탐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학사 탐구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고, 학습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탐구 활동 구조를 제시하였다. 방법: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문학사 탐구 교육의 기본 구도를 개관하였고, 역사학에서의 서술성에 관한 문헌 및 하위주체에 관한 문헌의 이론을 적용하여 문학사 탐구 활동의 구조를 구체화하였다. 결과: 문학사교육에서 지식의 기본 특성을 밝히고, 이를 전제한 문학사 탐구 활동의 구조를 ‘서술하는 주체의 목소리 발견하기’와 ‘서술되지 않은 주체의 목소리 발견하기’로 제시하였다. 결론: 서술성에 초점을 둔 문학사 탐구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문학사적 지식의 서술 및 분배 원리의 교육적 검토, 문학사 탐구의 결과물을 공유하기 위한 교육 환경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literary history inquiry education focusing on the narrativity of literary history. To this en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literary history inquiry education was explored, and an inquiry activity structure suitable for learners was devised. Method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terary history inquiry education was outlined, and the structure of literary history inquiry activities was specified by applying the theory of discussion on narrativity and subaltern in history. Result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are revealed, and the structure of the literary history inquiry activity premised on this is presented as discovering the voice of the narrator and the voice of the unwritten subject.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history inquiry education. First, the principle of descrip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literary history should be reviewed education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haring the results of literary history inquiry.

1. 들어가는 말

2. 문학사 탐구 교육의 기본 구도

3. 서술성에 초점을 문학사 탐구 활동의 구조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