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문학 영역 평가의 교사 간 채점 양상 비교

Comparison of Grading Patterns Among Teachers in Elementary Literary Assessment: Focusing on descriptive evaluation papers on educational website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문학 영역 평가에 있어 교사 간 채점 양상을 비교하여 평가의 신뢰도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방법: 교육현장에서 실제 사용된 교육용 웹사이트의 서술형 평가지로 6학년 학생 36명이 결과물을 작성하고, 10명의 초등교사가 채점하도록 하였다. 채점 결과는 SPSS 프로그램으로 평가자 간 상관관계 측면에서 살피고, 이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특이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수치상으로는 대체로 상관이 ‘높음’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단순히 ‘상관 있음’의 경우도 약 13%에 달했다. 또한 평가자들은 채점 시 점수를 상향조정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사항을 제안한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지를 제공하고 있는 교육 사이트의 자료를 비판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수행평가 채점 시 상향편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by comparing the scoring patterns among teachers in the evaluation of elementary literature. Methods: 36 6th grade students filled out the descriptive evaluation form of the educational website that was actual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graded it.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in terms of inter-rater correl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singularit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umerically, the correlation was generally higher than ‘high’, but the case of simply ‘correlating’ reached about 13% on average. Also, the raters tended to raise the score when grading. Conclus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wo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use the data of the educational site that provides evaluation papers for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not to cause upward leveling in scoring performance evalu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