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탐색해 보는 시론적 연구이다. 방법: ‘학문 문식성 실천에 필요한 앎의 총체’를 학문 문식성 지식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문식성 지식의 성격과 유형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식성 실천의 구성 요소(행위자, 언어, 행위 절차, 원리)를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의 지식을 인식론적 지식, 텍스트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내용 요소를 상세화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마련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발전시키고,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plore the education contents of disciplinary literacy centering on knowledge in order to reify the discourse o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Method: The ‘total of knowledge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disciplinary literacy’ was viewed as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and the nature and types of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were explored as educational content. Results: The knowledge i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pistemological knowledge, text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literacy practice (practice subject, language, action procedure, and principle), and content elements for each type were detailed.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content prepared in this study and to further materialize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discours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1. 서론
2. 문식성 교육에서 지식의 의미와 위상
3.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유형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