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Proposal Critical Reading Educa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Good Readers’ Critical Reading

목적: 이 연구는 성인 독자가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를 어느 정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성인 독자인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글을 제공하고 그 글을 통해 비판적 읽기를 얼마나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읽기 교육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내용 확인과 관련한 생각은 많이 생성하였으나 비판적 읽기와 관련한 생각은 1인 평균 1.5개 정도로 떠올리는 것에 불과했다.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 5~6학년군 교과서에서 찾은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은 자료의 출처, 저자의 전문성 등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이 텍스트에 대한 내용 확인만큼 습관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알맞게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이 전학년에 걸쳐 수시로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for critical reading education to observe how proficient readers are reading critically in real life. And the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proficient readers and obtain educational suggestions based on this. Methods: To this, I asked 24 college students classified as relatively skilled reader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 provided them with writings of unknown origi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all the ideas that came to mind while reading the article. Results: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generally put a lot of effort into reading the text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Surprisingly, they rarely performe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article. This study looked for content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the 5th to 6th grade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result, the textbook revealed that it did not provide sufficient learning content related to critical reading.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for readers to habitually perform critical reading in real life, textbook must provide more lear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that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 system.

1. 서론

2. 인터넷의 특성과 비판적 읽기 교육

3. 성인 독자의 읽기 양상 분석

4.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과 관련한 국어교과서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