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culturality and Perception of Key-competencies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목적 : 한국어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과 교사의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상호문화 교육 실천에 필요한 예비 교사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어 교육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중요도를 측정하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호문화성이 높을수록 교수학 지식, 문화 지식, 교육 공동체 참여, 교사 정체성, 문제 해결, 친화적 수업 관리, 활용 기술, 자기 관리 등의 역량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상호문화 교육 관련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결론 : 상호문화성이 낮을수록 언어 지식과 언어 수행 역량에 주목하고 다른 역량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양상이 나타나므로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을 높이면서 상호문화 교육 개념과 목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호문화 교육의 실천이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ity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estimat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eacher training course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s :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SPSS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high interculturality and the group with low interculturality were significantly explicit. 2) As the individuals' interculturality was getting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cultural competency, communitive involvement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intimate teaching competency, various media competency, and self­reflection competency increased positively. 3) The satisfactions with the present cultural education courses from the respondents were mostly low. Conclusion : 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that the lower teachers' interculturality is, the more unimportantly they considered some key competencies, therefore, improved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1. 서론

2. 상호문화 교육과 교사 핵심 역량

3. 연구 방법

4. 분석 및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