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간생산론을 활용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A Study of Literature Education MethodUsing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목적:이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하여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공간의 역동성을 강조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공간생산론이란 공간이 가진 잠재적 역동성에 주목한 이론이다. 또한, 사회적 공간을 구성하는 세 가지 계기인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에 각각 ‘지각공간’, ‘인지공간’, ‘체험공간’을 대응시켜 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이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이 연구는 문학교육이 학습자들의 체험공간을 기초로 하여, 인지공간과 지각공간의 관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문학교육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학습자들이 교실 공간의 주도권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출했다는 의의가 있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using Henri Lefeb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Methods:To this end, Henri Lefeb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which emphasized the dynamics of space,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which emphasized the dynamics of space,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The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is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potential dynamics of space. Henri Lefevre responds to ‘the perceived’, ‘conceptualized space’, and ‘space as directly lived’ respectively to the three moments that constitute social space, ‘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Results:This study theoretically confirmed that literature education can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pace and perceptual space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space. Conclusion:By proposing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using Henri Lefeb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new thinking of literary education, and that learners take the initiative of the classroom space and derive a specific way to participate in class.

1. 서론

2. 문학교육에 대한 공간적 사유

3. 공간생산론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