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예비 교사의 대면 국어 수업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Theoretical Approach to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Face-to-Face Korean Language Classes by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원격 교육실습만 경험한 초등 예비 교사들이 온라인 원격 교육실습에서 교실 대면 교육실습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초등학교 현장에서 처음으로 경험하는 국어 수업 실행 경험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초등학교 예비 교사가 대면 국어 수업에서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가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초등 예비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로 인터뷰를 각각 60~70분 씩 2회 (총 24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자료와 현장 노트(field notes)를 근거 자료로 삼아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 교사가 경험한 대면 국어 수업 실행에 대한 중심현상은 ‘학생의 존재와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에서 도출된 모든 범주를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중심범주(central category)는 ‘학생 중심 수업을 실천하는 교사되기’로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 예비 교사의 대면 국어 수업 실행 경험 과정은 첫째, 안개 속 설렘과 걱정·두려움의 단계, 둘째, 학생이라는 존재와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는 단계, 셋째, 학생에 대한 이해 형성 및 수업 성찰 단계, 넷째, 교사 경험을 안고 대학생으로 복귀하는 단계로 정리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irst Korean language class implementation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t a time wh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only experienced online remote education practice due to COVID-19 are converted from online remote education practice to classroom face-to-door education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preliminar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in face-to-face Korean classe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24 times in total) for 60 to 70 minutes,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as a method of evidence theory for 12 pre-primary teacher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field notes were used as evidence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execution of face-to-face Korean class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teachers was ‘new perception of the existence and interaction of students’, and all categories derived from the paradigm model were summarized. Finally, the central category was derived as ‘becoming a teacher who practices student-centered classes’. Conclusion: The face-to-face Korean language class experienc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organized into first, excitement, worry, and fear in fog, second, new awareness of the existence and interaction of students, third, 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students, and fourth, returning to college students with teacher experience.

1. 서론

2. 교사교육과 교육실습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