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변인과 범주

Variables and Categories of Grammar Education Field Study

목적: 이 연구는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변인과 범주를 살펴 앞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탐색하여 문법 교육의 현상을 분석하고, 문법 수업의 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법 수업의 변인으로 제시한 학습자, 교사, 교재, 맥락, 교육 과정, 교육 이론, 언어 이론, 교육 현장, 언어 현상을 바탕으로,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대상을 수업 장면 속에서 실체적으로 작동하는 ‘학습자, 교사, 교재’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연구 범주를 ‘자체’, ‘같은 대상’, ‘다른 대상-수업 내’, ‘다른 대상-수업 외’로 제안하였다. 결론: 문법 교육은 문법 이론보다 학습자 측면에 관심을 두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대상과 범주가 구체화되면 문법 교육의 특성과 학습자의 발달 및 수준을 반영한 다양한 문법 교육 현장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grammar education field research that will appear in various form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variables and categories of grammar education field research. Method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grammar education, the phenomenon of grammar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variables of grammar classes were explored. Results: Based on learners, teachers, textbooks, contexts, curriculum, educational theory, language theory, educational field, and language phenomena, the subject of grammar education field research was set as variables, and the research categories were suggested as ‘self’, ‘same object’, ‘different object- in-class’, and ‘other object-out-class’. Conclusion: Since grammar education is more interested in the learner aspect than grammar theory, various grammar education field stud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level of learners will be actively conducted.

1. 들어가며

2. 문법 교육의 현상과 변인

3. 문법 교육 현장 연구의 대상과 범주

4.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