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자반응이론의 반응범주 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ategories of Reader-Response Theor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독자가 읽기에서 보이는 반응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인 반응범주에 대해 종합적인 범주 체계를 정립해보는 데 있다. 방법: 반응유형에 대한 범주 체계를 설정하고 연구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범주 체계를 분류하고, 종합한다. 결과: 첫째, 독자들의 반응을 근거로 하는 귀납적 방법을 통해 반응범주를 추출하고 범주 체계를 설정한 국외연구들, 둘째, 반응범주의 틀이나 체계를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재구성한 후 분석을 진행한 국내연구들의 두 가지로 선행연구들이 분류되었다. 이 선행연구들의 범주 체계를 종합한 결과, ‘기술적, 해석적, 평가적, 개인적 반응, 기타’의 5가지 범주를 추출하였다. 개별 연구자들의 다양한 분류를 추출된 5가지 범주 체계 아래 군집화하여 제시하고, 그림으로 범주 체계를 연속선상에서 설명하였다. 결론: 정립된 반응범주 체계를 고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제시하고, 첨가될 항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독서) 교육 현장에서 독자반응이론을 적용할 때 어떠한 반응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적절하고, 그 반응유형들을 어떻게 범주화하여 평가할 수 있을지 수업 설계 및 평가 면에서 기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category system for response categories, which are criteria for analyzing the response types seen by readers in reading,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eader-response theory. Methods: The category system is classified and synthesiz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that established and studied the category system for response types. Results: Previous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foreign studies that extracted response categories and established category systems through inductive methods based on readers' responses. Second, domestic studies that conducted analysis after reconstructing the framework or system of the response category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category systems of these previous studies, five categories of 'descriptive, interpretive, evaluative, personal response, and others' were extracted. Various classifications of individual researchers were clustered and presented under the extracted five categories, and the category system was explained on a continuous line in the figure.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review of the established response category system were presented in a figure, and the item to be added was proposed.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help in class design and evaluation on what response types are appropriate to derive and how to categorize and evaluate them when applying the reader-response theory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1. 들어가며

2. 독자반응이론의 반응 관련 이론적 배경

3. 독자반응이론의 반응유형의 범주 체계

4.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