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15권 4호.jpg
학술저널

도시철도역 시설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분석과 가이드라인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n Evacuation of Urban Railway Station Facilities and Guidelines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지하역의 ‘피난’ 및 ‘소방’에 관련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여 현행 도시철도 지하역에서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적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사 기준이 개별법령에 분리 제정되어 기준 파악이 어렵고 서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철도에 한정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의 이동 동선에 따라 머무는 공간을 표준화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열차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티켓팅’ 이라는 특수한 절차를 고려해야 하며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에 피난안전구역, 피난계단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하 30m이상 깊이의 대심도에서 승강장이 있는 경우, 현행 건축법과 유사한 기준에 따라 피난층을 설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evacuation’ and ‘firefighting’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derives institutional limitations for ‘evacuation’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and proposes guidelines in term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derived. First, since similar standards are separately enacted in individual laws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andards and they are dualized,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and regulate the space where users sta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urban railway users, limited to urban railways. Second, in order to use trains, a special procedure called ‘ticketing’ must be considered, and regulations on evacuation safety zones and evacuation stairs between the waiting room and the platform are required. Finally, if there is a platform at a depth of more than 30m undergrou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evacuation floor in accordance with standards similar to the current building law.

1. 서 론

2. 국내 도시철도 역 시설에서의 ‘피난’을 위한 제도적 기준 분석

3. 도시철도역의 역시설의 특성과 ‘피난’ 규정에 대한 제도적 한계

4.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