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1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앙부처 공무원의 협력적 혁신활동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ve Innovation Bebavior of Central Government’s Public Officials

본 연구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혁신에 대한 관심이 정부 및 공공부문에 실무적으로 영향을 미쳐온 것에 비해, 행정학에서 다루어온 개인 단위의 혁신행동에 대한 관심과의 연결고리가 아직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에 따라 협력적 혁신 활동을 촉진하는 개인 및 조직 수준의 영향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중앙부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개인 영향요인 중 공직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개인의 협력적 혁신 활동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이 높아질수록 협력적 혁신 활동 의지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직급은 공공봉사동기의 (+)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혁신지원 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협력적 혁신활동 의지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래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자발적이고 내재적인 동기를 갖는 공무원, 직무보다 소속한 조직에 대한 일체감을 갖는 공무원들이 기존의 중앙부처 공무원의 역할이나 활동방식과는 다른 협력적 혁신활동에 대해 더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갖는 상위직급 공무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강화될수록 기존과 차별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협력적 혁신활동에 더 적극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a perspective that the interest in open and collaborative innovation has had a practical impact o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connection with the interest in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dealt with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for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at promote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n individual's willingness to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job level,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job level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positiv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level of innovation support, the weaker the willingness to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This means that public officials with voluntary and intrinsic motivation to contribute to the public interest and public officials with a commitment to their organizations are more likely to carry out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motivationfor public service by high-level officials with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he more active they are in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검토

Ⅲ. 정부의 협력적 혁신 현황

Ⅳ. 연구의 틀

Ⅴ. 연구방법

Ⅵ. 분석결과

Ⅶ.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