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9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시민행동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Innovation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procedural fairness

DOI : 10.32427/klar.2022.19.3.55
  • 238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선 공무원들의 자발적인 혁신행동이 필요하다.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연관이 있는 조직시민행동의 이타적 행동의 영향력을 분석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절차공정성이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조직시민행동의 이타적 행동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은 직무자율성과 절차공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율성과 절차공정성도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절차공정성은 직·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직접적으로 실증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지속적인 정부혁신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 스스로 혁신행동을 할 수 있는 내재화가 필요하다.

Voluntary innovation actions by public officials are needed to successfully lead government innovation that the government continues to promote. It analyzed the influence of altruistic behavior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lated to the job characteristics of public officials a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innovation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and confirmed how job autonomy and procedural fairness affect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ltruistic behavior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autonomy and procedural fairness. Third, job autonomy and procedural fairnes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and procedural fairness had direct or indirect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It is meaningful to directly demonstr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continuous government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nalize public officials to take innovative actions on their own.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