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AHP/IPA를 활용한 한국 전자통관시스템의 활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Korean e-Customs System Utilization Using AHP/IPA

DOI : 10.15798/kaici.2022.24.4.25
  • 42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전자통관시스템 중 하나로 꼽히는 UNI-PASS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HP와 IPA 방법을 채택하여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 요인을 '인적 자원 요인', '내부 환경(기업) 요인', '제도적 요인', '기술적 요인' 및 '외부 환경 요인'으로 분류하고, 다시 총 15개의 하위 요소로 세분화하여 이러한 요소들의 중요성과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세사 및 무역회사 관계자들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전자통관시스템 이용에 있어 '기술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하위 요인 중 '사용의 용이성'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PA 결과에 따르면 '사용의 용이성'과 '유관기관의 협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현재의 성과 수준은 낮아 전자통관시스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Electronic trade became more active and common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ince the trade transaction has increased and diversified, it is necessary to use the e-customs clearance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de operation using e-Trad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UNI-PASS,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xcellent e-customs clearance system in the world. Adopting AHP and IPA method, this study selected assessment fac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was classified as ‘Human resource factors’, ‘Internal environment(corporate)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Technic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and again subdivided into a total of 15 sub-factors. And we examine the importnace and performance of those factors. The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on customs attorneys and trading companies who are experts in customs cleara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echnical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for the e-customs clearance system usage and the importance score of ‘the ease of use’ is the highest among sub-factors. In addition, according to IPA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ease of use’ and ‘the collabo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 are high, but current performance levels are low, requiring the concentrated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customs clearance system.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