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개혁개방 이전 중국의 대표적인 산업인 면방직산업이 대외거래를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중국 경제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확인하려고 한 것이다. 중국 면방직산업에서 원면은 국내의 면화재배를 통해 상당한 수준의 자급률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중국 정부가 계획경제체제를 통해 면화증산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면제품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생산되었기 때문에 수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국내 수요를 넘어서는 면제품을 수출함으로써 수출대금으로 식량이나 설비 등을 수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중국 면방직산업은 수출을 선도하는 업종이 되었다. 면제품의 수출을 통해 외화를 획득하여 경제발전 초기 외화부족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줌으로써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이다. 한국의 사례와 비교해 보면 원면과 면제품의 대외거래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지만 경제에서의 역할은 유사했다. 결론적으로 중국 면방직산업은 대외거래를 통해 부족했던 원면을 수입하여 생산량의 증대를 가져왔고, 면제품을 수출하여 면방직산업의 발전과 중국경제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China's representative industry, the cotton textile industry, was influenced by external transactions before the reform and open door era, and what role it played in the Chinese economy. In the China’s cotton textile industry, raw cotton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self-sufficiency through domestic cotton cultivation. This result was because the Chinese government effectively implemented a cotton production increase policy through the planned economic system. In addition, few imports were made because cotton products were produced enough to meet domestic demand. Rather, by exporting cotton products that exceed domestic demand, food and facilities could be imported as export price. As a result, the China’s cotton textile industry has become a leading export industry. It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by acquiring foreign currency through the export of cotton products and helping to solve the problem of foreign currency shortage in the early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Compared to the case of Korea, Korea and China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external trade of raw cotton and cotton products, but their roles in the economy were similar. In conclusion, the China’s cotton textile industry increased production by importing raw cotton, which was insufficient through external transactions, and it can be said that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tton textil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economy by exporting cotton products.
Ⅰ. 서론
Ⅱ. 중국 면방직산업의 발전(1949~1976)
Ⅲ. 중국 면방직산업의 교역현황
Ⅳ. 한국 면방직산업의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