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RCEP 회원국 간 GVC 변화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GVC change among RCEP members

DOI : 10.15798/kaici.2022.24.4.119
  • 92

본 연구는 OECD ICIO를 이용한 Wang·Wei·Zhu(2013) 부가가치수출 분해 방법으로, 전·후방연계의 관점에서 한국의 RCEP 회원국에 대한 산업별 GVC 의존도 및 RCEP 회원국 간 국가·산업별 부가가치 교역 현황을 분석하고 RCEP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GVC의 주요 특징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RCEP 발효가 한국 GVC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국가·산업별 GVC 확대 및 재편 가능성과 변화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OECD ICIO(2021) 데이터인 2018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2018년은 국가 간 교역에 있어 코로나19에 따른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가장 최신의 자료를 사용한 분석 결과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다룬 한-중-일 혹은 한-아세안 등을 포괄하는 RCEP 회원국 간 GVC 현황과 특징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국제통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GVC 확대 및 재편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Korea's GVC dependence by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value-added trade from the perspective of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GVC, focusing on RCEP members, by using value-added trade decomposition method of Wang, Wei, and Zhu (2013) with OECD ICIO (2021).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how RCEP can affect Korea's GVC, and derives implications necessary for responding to the possibility of GVC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by country-industry and the changing trade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latest OECD ICIO (2021) data on the basis of 2018,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nalysis result using the most up-to date data that has not caused distortions due to COVID-19 in cross-border trade. It is also meaningful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GVC chang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GVCs among RCEP members, including Korea-China-Japan and Korea-ASEA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ponding to changing international trade issues.

Ⅰ. 서론

Ⅱ. RCEP의 개요

Ⅲ. RCEP 회원국 간 GVC 현황 및 특징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