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공감능력, 자기조절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ral Judgment, Empathy, and Self-Regulation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호
- : KCI등재
- 2023.01
- 689 - 703 (15 pages)
목적 타인을 이롭게 하는 자발적 행동으로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미래의 사회적 능력과 적응의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Ladd & Profilet, 1996). 본 연구는 유아기 친사회적 행동의 잠재적 예측변인인 도덕적 판단력, 공감능력, 그리고 자기조절력의 실제적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 만 3~5세 학급에 재원하는 유아 114명이었다. 도덕적 판단력, 공감능력, 자기조절력은 각각 개별 면접 방식의 유아용 수행 검사도구를 사용해 측정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은 교사가 평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들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친사회적 행동과 그 예측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친사회적 행동과 도덕적 판단력은 각각 만점의 80%를 넘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공감능력은 76%, 자기조절력은 61% 수준이었다.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조절력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연령,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도덕적 판단력을 단계적으로 투입한 회귀모형은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각 독립변인별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고, 자기조절력과 도덕적 판단력은 그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를 수용하여 대리 체험하는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는 타인의 요구나 고통에 친사회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공감은 이타적 인간관계를 지향하는 사회인지 및 감성 교육의 필수 요소가 된다. 공감 중심의 친사회성 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교육적 접근과 후속연구를 위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Objectives As a voluntary behavior that benefits others, th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is important in that it becomes an indicator of future social ability and adaptation(Ladd & Profilet, 199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moral judgment, empathy, and self-regulation on their prosocial behavior. Methods This subjects were 114 3- to 5-year-old children at a preschool in Seoul. Moral judgment, empathy, and self-regulation were assessed by individual interview-type performance-based measures, and prosocial behavior was assessed by teacher ratings on a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of research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prosocial behavior. Results Regarding the general trend of prosocial behavior and its predictors, prosocial behavior and moral judgment showed a high average score of more than 80% of the perfect score respectively. Empathy and self-regulation showed an average score of 76% and 61% of the perfect score, respectively. There were age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The regression model, which phased in age, empathy, self-regulation, and moral judg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Looking at the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em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lf-regulation and moral judgment were not effective in prosocial behavior. Conclusions It has been verified that preschoolers’ maturing empathy abilities make it more likely that they will prosocially respond to the needs or suffering of others, so empathy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of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education aimed at altruistic human relationships. It was discussed and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approaches, including empathy oriented prosocial education progra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