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아태연구 제29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중 농산품 무역 경쟁력 및 보완성 연구

Research on the Competitiveness and Complementar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Conclusion of the Korea-China FTA and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본문은 2015년 한중 FTA 체결과 2020년 코로나19 사태 전후 한중 농산품 품목 무역의 변화와 보완성에 대한 문제점도 도출한 부분이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본문은 UN Comtrade 무역데이터를 활용하여 HS코드 구분기준에 따라 농산품 품목의 범위를 1~4부(1~24류)로 나누고 연구범위를 확정하였고 연구기간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이다. 방법론으로 주로 현시비교우위지수(RCA), 무역경쟁력지수(TC), 무역보완도지수(TCI), 산업내무역지수(G-L) 등 지수산정을 통해서 한중 농산품의 경쟁력 및 보완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2015년 이전에는 중국의 RCA지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5년 FTA 체결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인해 2020년에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둘째, 무역경쟁력지수(TC)를 통해 전반적으로 한중 양국이 2015년 FTA 체결 전후 TC지수도 꾸준히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중국의 TC지수는 2019년 전까지 계속 소폭 변동해 왔으며, 2019년 코로나19 이후부터 하락하게 되었으며 또한 중국의 TC지수를 하향시켰다. 셋째, 무역보완도지수(TCI)를 산출한 결과 한중 양국의 농산품 품목 교역 관련 상대적 높은 보완성은 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5개 품목에서 비롯되었다. 넷째, 산업내무역지수(G-L)를 통해 한중 양국은 2015년 FTA 체결 전후에 전체적으로 G-L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보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코로나19 이후에 G-L지수가 하락하게 되었고 보완성이 오히려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ttempt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caused by the signing of the FTA in 2015 and the novel coronavirus in 2020 and draws complementary issues in this regar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orea-China agricultural products focus on the production and ex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Korea-China free trade area. Taking agricultural products as research objects, the paper divides them into categories 1-4 (Chapters 1-24) according to the HS code division rule. Using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trade competitive advantage index (TC), trade complementarity index (TCI), Grubel-Lloyd index (G-L), and other data, the competitiveness and complementarity of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examined in detail. The conclusion shows that China's RCA index has relatively increased since 2015, but has begun to decline since 2020. Second, the TC index of Korea and China also remained stable around 2015. China’s TC index continued to fluctuate slightly until 2019 and has fallen since then, which also led to the downward adjustment of its TC index. Third, as a result of the TCI index, Korea-China agricultural trade complementarity is relatively high. Fourth, the G-L index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5, and the complementarity has decreased, but since 2019, the G-L index has fallen and the complementarity has increased. The paper provides the following insights. First, Korea must identify new, competitive varieties that can gain access into the domestic market. Second, as an impact of the new coronavirus, there is an increased need to fortif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governments. Third, it’s necessary for Korea and China to overcome international trade protectionism in the agricultural sector.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한·중 농산품 무역 현황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과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