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22학기 1학기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1학기 동안 게더타운을 활용한 공간에서 수업이 진행됨으로써 교수-학생의 상호작용 및 수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A도에 소재하고 있는 B대학교와 C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재학생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을 통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2-way[2] RM ANOVA)으로 하였다. 결론으로는 첫째,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참여는 교수-학생의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신뢰성과 친밀감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참여는 수업 만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신체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수업 참여에 따른 전과 후의 시기별에 있어서는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의 모든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lasses are held in a space using Gathertown during the first semester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teraction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2nd semester, which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he class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0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year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B and University C located in province A, and consisted of 20 experimental group and 20 comparative group.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2-way [2] RM ANOVA)through SPSS 25.0. In conclusion, first, participation in digital interactive subjects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and intimacy i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Second, participation in digital interactive sub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sub-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Also,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each period before and after class particip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