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3D 입체퍼즐을 활용한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모색

Exploring Ways of Conduct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Using 3D Puzzles

  • 159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jpg

최근 문화유산에 대한 대중의 의식수준이 향상되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코로나19 상황을 맞이하여 각광받고 있는문화유산 3D 입체퍼즐 체험 교육의 전체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들이 직접 정읍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읍 무성서원 3D 입체퍼즐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도를 모색하고자 했다. 3D 입체퍼즐 체험교육은 수강생들이 직접 제작에 참여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완성품을 소유함으로써 교육 대상자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및 지역사회가 자연스럽게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가 높다고 사료된다. 또한 전문강사의 적절한 강의와 체험 교육이 수강생들의 수준을고려하여 적절히 안배되고, 수강생들이 해당 문화유산을 직접 답사하거나 이와 관련된 영상물을 시청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수업의 효과가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as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about cultural heritage has improved, the need for more effectiv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all cases of cultural heritage 3D puzzle experiential educ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limelight in the face of the COVID-19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a new way of undertak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was attempted by operating a 3D puzzle experience and education program at Jeongeup Museong Seowon for in Jeongeup C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3D puzzle experience are (1) a sense of achievement felt by participating students, (2) increased pride in the local cultural heritage felt by family members and the local community by owning the finished product. In addition, appropriate lectures and experiential education by professional instructors was appropriate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the stud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class is doubled when the students adopt the method of directly exploring the cultural heritage or watching related videos.

1. 서론

2.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3D 입체퍼즐 활용 현황

3. 무성서원 입체퍼즐 제작 활용 프로그램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