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tacognition and Digital Literacy on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Spirit

  • 321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메타인지, 디지털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메타인지, 디지털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그 관계에서 공유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H 대학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자료를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적 관계,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디지털리터러시는 공유정신과, 메타인지와 공유정신은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메타인지와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유정신은 부분 매개효과를, 디지털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유정신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관련 변인을 제고하는 데 더 관심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교수법을 개발하고 그 내용을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spi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191 university students at H Universit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contents of this pape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cognition and digital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with shared psychology, and metacognition and digital literacy with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haring spiri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by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내용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