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드라마 <킹덤>에 직조된 다층적 서사구조와 캐릭터에 대한 젠더적 접근

<킹덤>시리즈는 재난서사 텍스트이다. 그간 <킹덤>은 ‘좀비’ 캐릭터에 초점을 맞춘 좀비 아포칼립스의관점, 형식적인 측면에서 OTT의 매체적 특징에 주목한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이 글은 기왕의 연구가<킹덤>의 해석 스펙트럼을 축소시키고 있으며, 특히 ‘좀비’라는 특정 캐릭터에만 집중된 연구들이 진행된 까닭에 <킹덤>의 다층적 서사구조와 그 구조 내 캐릭터 간 역학관계에 폭넓게 접근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삼는다. 따라서 이 글은 <킹덤>이 재난서사 이외에도 다층적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서사구조를 메인플롯과 서브플롯으로 구분하고, 남성 캐릭터가 맡고 있는 메인플롯과, 여성 캐릭터가 맡고 있는 서브플롯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성 캐릭터에 비해 여성 캐릭터의 역할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글을 통해 <킹덤>의 서사구조를 캐릭터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킹덤> 해석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Kingdom> series is a disaster narrative text. Previous studie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ould not broadly approach the dynamics between characters in <Kingdom> because they focused only on a specific character called 'zombie'.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is that existing research is reducing the interpretation spectrum of <Kingdom>. Therefore,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Kingdom> has a multi-layered narrative structure. The aspect of the plot was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s of female characters are limited compared to male characters. Through this article, it is hoped that by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Kingdom> centered on characters,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Kingdom>.

1. 문제 제기

2. 재난서사와 <킹덤>의 다층적 서사구조

3. 메인플롯의 남성 캐릭터

4. 서브플롯의 여성 캐릭터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