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들의 모바일 사용동기를 실용적 동기와 쾌락적 동기 집단으로 나누어 모바일 서비스 선호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다. 제주공항에서 탑승대기중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모바일 사용 관광자들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집단간 모바일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그룹이 정보탐색추구집단, 의사소통지향집단, 구매사이트탐색지향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단문문자서비스를 제외한 세 그룹간 모바일 서비스들에 대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졋다. 관광청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본 논문의 한계점 또한 결론에서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bile service preference among different motivation types of mobile users. Data were collected from 332 tourists at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on August 2009.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on the motivations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three different types of mobile users: information seekers, communication seekers and on-line shopping seeker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seekers and on-line shopping seekers had higher utilitarian motivations than communication seekers, while communication seekers had higher hedonic motivation than the other two types of users. Furthermor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their preferred mobile services. In particular, information seekers and on-line shopping seekers preferred character message and picture message, while communication seekers preferred virtual tour and 3D games for travel.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also mention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