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야간근무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Hours and Night Duty on Sleep Disturbance in Korean Workers

  • 482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직장은 긴 근무 시간, 교대 근무 또는 야간근무, 그리고 직원들사이에서 심혈관 질환, 비만, 정신 질환 및 일반 질병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대한민국의 만 19세 이상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5차 근로환경조사(KWCS)를 기반으로 하여 연구를 하였다. 분석 대상자는 총 34,708명(남성 20,505명, 여성 14,203명)이었다. 결과 변수는 참가자가 12개월 동안 수면장애를 보고했는지에 대한 여부이다. 직업군별 수면장애유병률과 근무시간, 야간근무, 수면장애와의 관계를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면장애 유병률은 전문가 및 관리자 3.6%, 임원 2.6%, 영업 및 서비스2.0%, 엔지니어 1.5%, 근로자 2.6%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시간 근로와 교대(야간) 근로가 수면장애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Korean workplace is well know for its long work days, shift or night duty and amongst employees unhealthy conditions like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mental illness and common. The study was based on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conducted on workers 19 or older in South Korea in 2018.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4,708 (20,505 men, 14,203 women). The outcome variable was whether the participant reported sleep disturbance for 12 months. We estimated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by occupational group and relationship between work hour, night duty and sleep disturbance using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long working hours and shift(night) work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leep disturbance.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